아내의 귀빠진 날 외 1편
황동섭
언제 그 자리에 있었던 걸까?
조용조용 자기 할 일 외엔 거들떠보지 않고 꾸역꾸역 일만 한다.
그런 그가 언젠가부터 창 밖을 바라보는 일이 잦아졌다.
헝클어진 아내의 파마머리에 윤기가 가셨다.
끊어질 듯 다시 이어지는 흐릿한 길,
유리창에 박힌 실금의 그 길에서
이제 막 돋아나는 은행잎 싹에 물감을 칠하는 걸까?
그는 캔버스를 놓은 지 오래됐다.
글라스 블러드핀(Glass Bloodfin),
내장까지 훤히 비치는 열대어처럼 투명했던 몸은
이끼가 끼면서 마른 입술까지 굳게 닫혔다.
애초에 날개 같은 건 없다는 걸 인정한 걸까?
교양으로 미소 짓는 옆 모습이 우울은 아니라고 했다.
아침부터 질금질금 비가 내린 음력 3월 열사흘,
연분홍에서 붉은 기운을 돌아 다홍으로 가는 길이 열흘쯤,
생은 너무 솔직한 걸 싫어하는 걸까?
"태양을 담은 접시엔 올리브가 늘 함께 했다."라는 제목 아래
퍼거스紙에 실린 그리스 식당의 사진은
석양의 장엄함을 담은 황금색 유리창이었다.
그래서 나는 미안하다.
면벽(面壁)
그는 무릇 나체의 사상이란 걸 두려워하고 있었다
아름다운 것은 반드시 사람을 죽인다 이것이 그의
입버릇이 되었다 -'황금의 환상', 다무라 류이지-
벽과 벽 속엔 늘 사람이 들어있고
유골의 잔해 속엔 수없는 벽이 녹아 있다
과묵한 벽은 천 년을 넘어서야
기울듯 고개를 끄덕인다
모서리와 시간의 개입이 없다면, 벽은
신과의 소통을 위한 냉철한 문이며 성전이다
벽은 벽을 끌어내리지도 죽이지도 않는다
사람들이 벽을 쌓아 못을 박고 갈라진 벽은 사람을 가둔다
한 철을 겨우 넘긴 화해, 담쟁이를 내세우는 게 아니었다
입이며 눈이며 귀인 그를 벽으로만 보는 편견이 위험하다
벽은 벽의 의미에 가득차서 벽을 낳는다
아름다운 것이 벽을 죽인다는 말은 낭설일 뿐이다
출처: 스토리문학 2010년 7/8월호
'나의 문학 > 새책 또는 글 소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김리영의 <파장>외 1편 (0) | 2010.07.30 |
---|---|
이향난의 <나을 연주하는 이에게>외 1편 (0) | 2010.07.30 |
황동섭<아내의 귀빠진 날>외 1편 (0) | 2010.07.30 |
한상길의 <각시풀>외 1편 (0) | 2010.07.30 |
성배순의 시 <아바타>외 1편 (0) | 2010.07.30 |